2024년의 제주는…
2024년의 제주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재병 편집국 부국장

2024년 갑진년(甲辰年) ‘청룡의 해’가 시작됐다. 새해가 밝았다고 떠들썩했었는데 벌써 열흘이 넘었다. 올해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순식간에 지나갈 듯싶다.


어느 해나 중요하지 않은 해가 없겠지만, 특히나 올해는 제주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아주 중대한 현안들이 쉴새 없이 이어진다. 그만큼 관심과 이목이 쏠리는 해다.


어제 제주도는 지난해 1년 내내 진행된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 등을 위한 공론화 추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최종보고회에서는 행정체제 계층과 행정구역 1순위 대안으로 ‘시군 기초자치단체+3개 행정구역(국회의원 선거구)’을 제시했다. 또한 제주형 행정체제 실행방안과 주민투표 등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제주도행정체제개편위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최종 권고안을 도출하게 되는데 앞서 제시된 1순위 대안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제주도는 행정체제 개편 최종 권고안을 토대로 정책 결정이 확정되면 오는 6~7월 주민투표를 실시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거쳐 그해 7월 1일부터 시행한다는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2006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기초자치단체인 제주시와 서귀포시, 북제주군과 남제주군이 사라졌다. 제주도와 행정시인 제주시·서귀포시 체제로 전환됐지만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체제를 놓고 논란이 계속됐다. 십여 년 동안 지속돼 온 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올해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하지만 정부와의 협의, 주민투표, 제주특별법 개정 등 앞으로 넘어야 할 산도 수두룩하다. 


2015년 11월 발표 이후 지금까지 제주의 가장 큰 이슈인 성산읍 일대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도 분수령을 맞게 된다. 국토교통부가 오는 3월쯤, 늦어도 상반기에는 제2공항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제2공항 기본계획이 지역사회의 갈등을 봉합할지, 아니면 오히려 증폭시킬지 예단하기 어렵다.


4월 10일에는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진다. 제주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가 들썩일 정치 이슈다. 이번 선거에서 어떤 결과가 도출되고, 제주의 미래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도민들의 현명한 선택이 요구된다.


선거가 끝나면 2025년 11월 예정된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이하 APEC) 정상회의 유치 지역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2005년 고배를 마셨던 제주가 다시 도전하고 있다. 


APEC 정상회의는 총 21개국 회원 정상들이 참여하는 아시아, 태평양 연안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번영을 목표로 설립된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의 최고 회의다. 제주연구원은 제주에서 APEC 정상회의를 유치할 경우 1조783억원의 생산유발, 4812억원의 부가가치 창출, 9288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산하는 등 그야말로 국제적인 빅 이벤트다.


현재 제주와 인천, 부산, 경북 경주 등 4곳이 경쟁 중이다. 특히나 부산의 엑스포 유치 실패가 변수가 돼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침체를 이어가고 있는 제주 지역경제를 회복하고, 그린수소·우주산업·도심항공교통·신재생에너지 등 제주의 산업구조를 바꿀 미래산업 육성도 올해는 보다 가시적인 성과를 올려야 한다.


이처럼 올 한해는 제주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현안들이 줄을 잇는다. 이 모든 현안들은 제주도민의 결정과 판단, 공감대가 뒷받침돼야 하는 일들이다. 제주의 미래를 위한 제주도민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한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