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생산성 마이너스 진입...경제 성장도 쇠퇴
제주, 생산성 마이너스 진입...경제 성장도 쇠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산업연구원 보고서, 총부가가치와 총요소생산성 매년 하향 곡선
고층 건물이 즐비한 제주시 연동 도심지 전경.
고층 건물이 즐비한 제주시 연동 도심지 전경.

제주지역이 20여 년 전보다 노동·산업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경제 성장을 견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발굴·육성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19일 발간한 ‘지역별 성장회계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는 제주지역 총부가가치와 총요소생산성이 해마다 하향 곡선을 그렸다.

제주의 총부가가치 증가율을 보면 2005년 4.22%, 2010년 3.55%, 2015년 5.84%, 2020년 1.22%로 급락했다. 전국 평균은 2.07%(2020년)다.

총부가가치는 지역에서 생산된 상품 및 서비스의 가치로, 개별 생산자와 산업 부문이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한 정도를 뜻한다.

제주는 2015년 입도 관광객이 1366만명을 기록했고, 중국인 관광객 220만명이 방문, 관광개발과 부동산 경기에 호황을 보였으나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경제가 크게 쇠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을 보면 2005년 0.73%, 2010년 2.25%, 2015년 1.75%에서 2020년 -2.07%로 마이너스로 진입했다. 전국 평균은 0.49%(2020년)다.

총요소생산성은 노동·자본·토지 등 생산요소 외에 제도 개선과 기술 혁신, 노사 협력 등 보이지 않는 생산성을 뜻한다.

제주지역 총요소생산성 마이너스는 비교 대상이 된 다른 지역보다 혁신성과 인적 자본, 경제 자유도는 떨어지는 반면, 불필요한 규제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제주지역 생산요소(노동·자본·토지) 투입 기여도는 2005년 3.49%, 2010년 1.30%, 2015년 4.09%, 2020년 3.29%로, 전국 평균 1.58%(2020년)를 상회했다.

이를 볼 때 1차 산업과 관광서비스에 편중된 제주는 생산요소의 양적 투입에 의한 성장은 점차 한계에 다다랐고, 지역경제 도약을 위해 새로운 성장 원동력과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하락한 점에서 산업구조 고도화 및 신산업 발굴·육성을 통한 지역의 총요소생산성 제고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제주사랑 2023-10-21 16:43:02
기자님 환경이 보존되서 좋아요 제주도가 쇠퇴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