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오래 살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오래 살 수 있을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허정옥 ㈔제주장수복지연구원장/논설위원

어떻게 하면 오래 살 수 있을까? 백세 고개를 넘어가도 숨이 가쁘지 않게 살아가는 장수노인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100세 이상 장수인을 400명 이상 연구해 온 박상철 교수에 의하면 첫 번째가 ‘부지런함’이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 걷든가, 텃밭을 가꾸든가, 잠시도 쉬지 않고 손발을 움직이는 사람들이 장수의 선두를 달린다. 남에게 일을 맡기지 않고 스스로 무언가를 해내는 사람들이 마지막까지 살아남는다. 

세월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왕성한 몸과 마음의 부지런히, 운동효과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동시에 뇌의 신경세포를 자극해줌으로써 치매의 여지를 막아주는 효과도 생긴다. 이처럼 느리게 나이 드는 속도를 유지함으로써 노화에 붙잡히지 않는 사람들이 결국은 장수인으로 남게 된다. 세월보다 한 발 앞서 달려가는 이들에게 내려진 하늘의 상급이라고나 할까?
둘째, 호기심이 왕성하다는 점이다. 동네 대소사를 꿰뚫고 있으며, 늘 새로운 것에 관심을 둔다. 

셋째, 솔직하다는 사실이다. 무엇이든 가슴에 쌓아두지 않고 할 말이나 감정을 그대로 표현한다. 그렇게 감정을 표출함으로써 날아드는 스트레스를 날려버리게 된다. 

넷째, 잘 어울리려고 노력한다. 혼자 사는 노인이지만 동네 사람들과 어울리고, 자식들과 동거하더라도 무시로 한 동네 노인회관을 찾아가 이웃들을 만난다. 

요컨대, 장수인의 특징은 마지막 순간까지 움직이면서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들테면 백세에 지게를 지고, 친구를 만나러 산을 넘고, 낮에는 밭에서 일하고 밤에는 한학을 공부한다. 이들에게 노화는 죽기 위한 과정이 아니라 ‘살아남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생명은 죽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살기 위해 태어난 존재이기 때문이다. 

백세를 사시는 우리 어머니의 경우는 첫 번째 장수의 특징에 해당한다. 어쩌면 대부분의 제주도 어머니들이 그러리라 생각된다. 돌과 바람이 많은 자연 환경을, 여인들이 얼마나 간절하게 감싸안았으면, ‘삼다도(三多島)’라 불렸을까. 조선시대에는 여름철 홍수와 태풍, 가뭄으로 인해 수해(水害)·풍해(風害)·한해(旱害)가 극심해서 ‘삼다도’라 불렸다지 않는가. 

통계적으로는 1948년 4·3사건으로 남자들의 희생이 극심해서, 여다의 섬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제주4·3사건 진상 보고서’에 의하면 해방 직후 제주도 인구는 25만4589명으로 지금의 36%에 불과하다. 그중에 남자는 11만4759명(45.08%), 여자는 13만9830명(54.92%)으로, 남자가 여자의 82%에 불과하다. 4·3으로 희생된 도민들이 약 3만 명으로 추산된다. 참고로 2022년 12월 말 현재 제주도의 전체 인구는 69만9751명이다. 

문득 사는 게 무언가 싶은 생각에 김종두 선생의 시, ‘사는 게 뭣 산디’를 펼쳐본다. ‘사름 사는 일은 험한 산을 오르는 거여. 이녁만씩 인생의 탑을 쌓아 가는 거여… 산을 오르면 이내 해는 져불곡, 탑을 쌓고 나면 우리의 육신은 깃털이 되고 말주만, 버친 삶 짊어졍 살아 온 똠과 눈물, 이게 우리가 살아 온 보람이여. 이게 사름 사는 거여.’

이렇게 살아온 제주인의 삶이야 말로, 요즘들어 유행하는 웰에이징이 아닌가 싶다.  이제 가을이다. 박상철 교수가 주장하는 바, ‘자연에 순응하며 일상생활을 조금씩 고쳐 나가는 참늙기’를 시작해보면 어떨까. 

※본란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