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제주포럼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근형,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논설위원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제18회 제주포럼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보도에 따르면 65개국에서 4182명이 참석했다고 하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포럼으로 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조제 오르타 동티모르 대통령, 한덕수 국무총리,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 유명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포럼의 주제도 ‘인도-태평양 지역의 지속 가능한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으로 설정하여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외전략의 비전과 다양한 이슈들을 중점적으로 다룰 수 있는 공론의 장이 되었다.

제주포럼은 2001년 김대중 정부의 6·15 공동선언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평화포럼’으로 시작되었으나, 제주특별자치도가 2005년 중앙정부로부터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된 이후에는 세계평화의 섬을 상징하고 그 비전을 구현시켜가는 가장 중요한 사업이 되어왔다. 특히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다양한 담론을 형성하고 실천하기 위한 중요한 외교적 플랫폼의 역할을 해왔으며, 제주를 세계에 알리는 데도 크게 기여하였다.

제주포럼은 스위스의 다보스포럼, 중국 해남성의 보아오 포럼에 견줄 수 있는 세계적인 포럼으로 도약하겠다는 웅대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는 물론 제주도정의 적극적인 재정적 지원과 참여가 요청된다. 제주도 의회도 제주포럼을 세계적인 포럼으로 육성시키려는 비전을 공유하고 이에 필요한 예산을 아낌없이 지원해야 할 것이다. 전 세계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제주포럼을 세계적인 포럼으로 인식하게 되면, 세계적인 인사들이 자원하여 참가하려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제주의 위상이 높아짐은 물론 경제적 효과도 뒤따르게 될 것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제주도정이 추진하고 있는 아세안+α 정책과 4·3 모델의 세계화 등 제주의 현안들을 다루는 세션들이 이전 포럼보다 많아졌다. 그간 제주사회의 일각에서는 제주포럼이 제주와는 동떨어진 논의의 장이 되고 있다는 비판이 없지 않았다. 제주 현안과 세계적인 이슈를 어떻게 잘 배합하느냐 하는 것이 향후 제주포럼의 방향 설정에 매우 중요하다. 제주 현안의 비중이 많아진다면 제주포럼은 그야말로 동네잔치일 뿐이며, 중앙정부의 관심도 멀어질 것이다. 다보스 포럼에서 다보스 지역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 보아오 포럼도 해남도의 문제를 다루는 논의의 장이 아니다. 이른바 중국몽을 실현시키려는 시진핑 주석이 주도하는 담론의 장인 것이다.

노무현 정부 때 동북아 중심국가를 구현하기 위한 외교적 공론의 장으로서 제주를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했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정책을 산출하기 위해 제주포럼을 발전시켰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글로벌 중추국가를 내세우고 있다. G7과 NATO 정상회의에 초청받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글로벌 중추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작은 이익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이슈에 목소리를 내고 그만큼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제주포럼도 중앙정부의 이와 같은 정책에 발맞추어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넘어 세계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을 쏟아내는 외교적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그간 발표된 제주선언을 검토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려는 구체적인 정책들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본란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