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평 폐유리 자원화시설 주민 vs 행정 ‘평행선’
도평 폐유리 자원화시설 주민 vs 행정 ‘평행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대책위, 시청 앞 반대 집회 “환경저감 검증 안 돼”
제주시, 빈병 처리난·육지 반출 한계 “시설 필요”
도평폐유리공장반대대책위 회원들이 2일 제주시청 청정환경국(4별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도평폐유리공장반대대책위 회원들이 2일 제주시청 청정환경국(4별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제주시 외도동 도평마을에 추진 중인 폐유리 자원화시설에 대해 주민들이 반대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반면, 제주시는 폐유리를 다른 지방에 계속 반출만 할 수는 없어서 자체 처리시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2일 제주시에 따르면 A업체가 도평마을에 건축연면적 1600㎡의 폐유리 자원화시설 설치를 추진 중이다.

이곳은 1일 30t의 폐유리를 재생하거나 건축자재로 재활용하는 자동화 처리시설과 장비가 들어선다.

자원화시설에서 소주병과 맥주병은 세척·소독작업을 거쳐 소주·맥주생산회사에 보내고, 그 외에 잡병과 깨진 유리는 색깔 별로 분류·파쇄한 후 유리제조회사에 보내게 된다. 유리로도 재활용 못할 경우 녹여서 건축자재(골재·마감재)로 활용하게 된다.

도내 유일, 최대 규모의 빈병 수집업체는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모 업체로 1일 20.5t의 빈병과 폐유리를 수집· 분류해 군산에 있는 빈병 재활용 공장에 보내고 있다.

그런데 도내에서 배출된 빈병마다 담배꽁초와 참기름·식용유, 젓갈류, 양념장 등 온갖 이물질이 담겨 있어서 대부분 A급이 아닌 C급으로 분류돼 타 지방 재활용공장에서는 받기를 꺼려하고 있다.

이 업체는 빈병을 선별·세척할 자동화기계를 도입하려면 지금보다 넓은 부지가 필요하지만, 자원순환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돼 이전은 물론 확장을 못하고 있다.

제주시 관계자는 “향후 환경정책이 강화돼 빈병과 폐유리를 해외는 물론 국내에 반출·반입을 금지할 경우 제주에서 발생하는 연간 1만t이 넘는 빈병에 대한 처리난이 발생할 수 있다”며 “더구나 폐차되는 자동차 유리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제주에서 처리·가공할 업체가 없다보니 전량 매립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평폐유리공장반대대책위 회원들이 2일 제주시청 청정환경국(4별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도평폐유리공장반대대책위 회원들이 2일 제주시청 청정환경국(4별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었다.

반면, 도평초등학교 학부모회와 마을 자생단체로 구성된 도평폐유리공장반대대책위원회(위원장 고문주)는 2일 제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주민 동의 없는 시설을 반대하는 피켓 시위에 나섰다.

이들은 “현재 행정절차가 진행 중인 사업부지는 지방하천인 ‘어시천’을 끼고 있고, 폐유리 재활용 시설은 운반·보관·분해·가공 공정에서 안전성과 환경오염 저감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도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환경오염을 유발할 가능성 높은 사업부지 인근에 초등학교·어린이집·요양원 등 교육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이 300m~1.9㎞ 거리에 있는 만큼, 자원순환시설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폐유리가공공장은 도평마을에 들어서면 안 된다”고 성토했다.

대책위는 이날 도평마을 주민 등 도민 2240명의 서명을 받은 청원서를 제주시에 제출했다.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도내 유일의 빈병 재활용처리센터 전경.
제주시 오라2동에 있는 도내 유일의 빈병 재활용처리센터 전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