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 제주, 그 시작은 ‘포용과 배려’
다문화사회 제주, 그 시작은 ‘포용과 배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1>프롤로그, 다문화가족 지원 복지적 접근 보다 사회적 논의 통한 종합적 제도 필요
     

국제자유도시 출범 13년째를 맞는 제주는 다문화 사회다. 인구 100명 중 2.2명이 외국인일 정도로 ‘다문화’는 이제 우리의 일상이 됐다.

 


제주일보는 이에 따라 기획시리즈를 통해 제주사회의 당당한 일원이 된 다문화 구성원들이 제주와 함께하는 삶을 살펴보고, 그들이 어떻게 우리 사회에 적응하며 함께 하고 있는지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주노동자와 유학생 등 재한외국인, 결혼이주여성, 다문화자녀 등 다문화 구성원들이 우리 사회에 제대로 합류할 수 있도록 왜 손을 내밀어야 하는지를 모색하고자 한다.【편집자주】

 


새해를 맞으면 모두가 미래에 대한 얘기를 한다.

 


제주 사회에 여러 현안이 있겠지만 늘 남의 얘기로만 여기고 말을 하기 꺼려하는 것이 ‘다문화사회’다.

 


제주가 국제자유도시로 힘차게 출발한 지 1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길거리에서, 주변에서 마주치는 피부색이 다른 사람들은 어릴적 낯설게만 느껴졌던 외국인 그 자체다.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들을 맞다보니 동남아 출신 근로자나 결혼이주여성, 그 자녀들을 우리 이웃이나 가족으로 여기지 않고, 반면 백인이라고 오히려 기가 죽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국제자유도시에 살면서도 우리의 정서 밑바닥에 깔려 있는 ‘우리끼리’라는 의식이 깊숙이 뿌리내려 있어 다문화 구성원들을 인정하기 싫어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2013년 1월 기준 제주특별자치도의 전체 인구 58만3713명 중 거주외국인은 1만2656명으로 전체 2.2%에 이르고, 이 중 결혼이민자 및 혼인귀화자도 2423명에 달한다.

 


거주외국인은 2012년 1만406명에 비해 1년 만에 21.6%나 증가해 전국 평균 증가율 2.6%의 10배 이상에 달한다.

 


결혼이민자 및 혼인귀화자도 2012년 2158명에서 12.3%나 늘어 전국 평균 4.9%를 크게 앞질렀다.

 


거주외국인 중 외국인 근로자가 4461명으로 가장 많고, 결혼 이민자 1803명, 유학생 906명, 외국국적 동포 698명 등이며 혼인 귀화자는 620명에 달한다.

 


외국인 주민 자녀도 2358명에 이른다. 외국인 주민 세대는 총 2622세대로 국적별로는 베트남이 749세대로 가장 많고, 중국 487세대, 한국계 중국 432세대, 필리핀 361세대, 일본 158세대, 남부아시아 100세대 캄보디아 67세대, 대만 65세대, 미국 45세대, 중앙아시아 35세대, 몽골 18세대, 러시아 15세대, 태국 14세대, 인도네시아 14세대 등이다.

 


제주에 정착한 다문화 가족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제주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고, 오히려 다양한 모임과 봉사활동 등을 통해 제주인보다 더 제주인 같은 모습으로 각자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구성원이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았지만 이들을 우리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받아들이려는 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것은 다문화 사회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다문화 구성원들을 이방인으로 여기지 말고, 평범한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이려는 태도의 변화가 무엇보다 절실하다.

 


이들을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다문화 자녀들에 대한 맞춤형 교육 지원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등학생 이하 자녀들의 한국어 발달을 위해 전담교사 등 지원서비스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도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자녀를 연령별로 보면 0~4세가 1356명이고, 5~9세 540명, 10~14세 311명, 15~18세 151명이다.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이해에 대한 교육도 필수다. 전문가들은 “경찰 등 직종 대상별로 다문화 이해 교육을 실시하고, 지역 내 민관 협력을 통해 다문화가족 교류·연계 프로그램을 발굴·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다문화가족 지원을 ‘복지적 문제’로만 접근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복지적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다문화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이 생기기 때문에 복지적 문제로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이들과 함께 갈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통해 종합적인 제도 마련과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문화 구성원들과의 잠재적 갈등을 줄이려면 다른 문화를 폭 넓게 포용하고 이를 정책에 현실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급변하는 다문화사회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다문화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한다.

 


오명찬 다문화가정제주특별자치도협회 회장은 “다문화가족을 복지적 수혜자로만 인식해서는 안된다”며 “다문화 가정 스스로도 변하고, 도민들의 시각도 달라져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 회장 또 “몇몇 다문화 가정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이를 일반화·집단화시켜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