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해자와 피해자가 한 마을에 사는 ‘이웃’
(1)가해자와 피해자가 한 마을에 사는 ‘이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전승해야
▲ 2013년 8월 정문현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오른쪽)과 현창하 제주도재향경우회장이 화해와 상생을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서로의 손을 맞잡았다.

4·3의 슬로건은 ‘화해와 상생’이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한 마을에 살아온 만큼 화해와 상생을 통해 4·3의 아픔을 극복하고 미래세대에 교훈을 전해 줄 가치로 꼽히고 있다.

4·3은 전개 과정에서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인 3만 여 명이 집단 희생됐다. 희생자 중 33%는 보호를 받아야 할 어린이·노인·여성이었다.

3만 여 명의 희생자 중 86%는 군·경 토벌대에 의해, 14%는 무장대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희생자 비율을 보면 군·경의 과잉진압을 짐작할 수 있다.

낮에는 토벌대가 밤에는 무장대가 마을을 습격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많은 양민들이 무고하게 희생됐다.

양민들은 살아남기 위해선 토벌대든, 무장대든 어느 한쪽에 협조를 안 할 수가 없었다. 이로 인해 4·3의 전개 과정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는 서로 알고 지내던 이웃인 경우가 많았다.

특히 토벌대와 무장대가 밤낮으로 들볶으면서 자신은 물론 가족을 살리기 위해 이웃을 지목하거나 밀고하는 사례도 벌어졌다.

하지만 수 십년간 서로 등을 돌리고 지냈던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도재향경우회가 2013년 손을 맞잡으면서 화해와 상생의 본보기가 됐다.

유족회는 제주시충혼묘지를, 경우회는 4·3평화공원을 방문하는 등 양 단체는 해마다 공동 추모와 합동 참배를 이어가고 있다.

이문교 전 4·3평화재단 이사장은 “4·3평화포럼을 찾았던 한 독일인 교수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한 마을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며 “그 교수는 독일의 과거사 정리는 유대인을 학살한 나치 전범을 끝까지 찾아내 재판정에 세워 처벌하는 반면, 4·3의 경우 서로 용서를 하고 화해를 하면서 전 세계에서 보기 드믄 사례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