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산의 일각인 가습기 살균제 피해 구제
빙산의 일각인 가습기 살균제 피해 구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2011년 불거진 가습기 살균제 사태는 현재 진행형이다. 전국적으로 피해 신고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세상을 등지는 경우 또한 잇따르고 있다. 2011년 가습기 살균제와 폐질환의 인과관계가 드러난 이후 지난해 말까지 7년간 우리나라 전체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는 5955명에 달했다. 그중 22%인 1292명이 목숨을 잃었다.

피해 신청인 5명당 1명꼴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 1~2월 중 피해 신고자는 6000명, 사망자는 1300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예삿일이 아니다. 제주지역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이 기간 32명이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를 했다. 이 가운데 2015년 1명, 2016년 4명 등 5명이 숨졌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접수된 결과다.

안타까운 참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가 곧 피해 사례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신고자는 건강피해 판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 점에서 피해 접수자는 잠재적 피해자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문제는 현재 신고된 피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환경부가 한국환경독성보건학회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 가습기 살균제 사용자는 350만~500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중 겨우 10%인 30만~50만명이 병원 치료를 받은 것으로 추산됐다. 이를 토대로 한다면 피해 접수자는 병원 치료자의 1~2%에 지나지 않는다. 여전히 가습기 살균제 잠재적 피해자가 수두룩하다는 뜻이다. 물론 거기엔 제주지역도 포함된다.

이처럼 피해 신고가 더딘 건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오랜 시간 동안 발생한 일이기 때문이다. 단순한 생활용품으로 심한 질병과 사망까지 발생한 것에 대해 많은 소비자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탓도 크다.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대대적인 피해자 찾기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제주도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게 제주환경운동연합의 지적이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에 대한 홍보 예산이 전무한 데다 업무도 단순 안내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갑갑한 노릇이다. 도는 지금이라도 사태의 심각성을 직시해야 한다. 관련 예산과 인력을 배치해 피해자 구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