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비사 태부족한 저가항공사 안전한가
정비사 태부족한 저가항공사 안전한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최근 저가항공사(LCC)의 성장세가 가파른 추세다.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하지만 안전운항의 필수 요소인 정비인력이 턱없이 모자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LCC의 안전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항공사 덩치만 키울 게 아니라 체질 개선에도 나서야 한다는 얘기다.

보도를 보면 제주항공과 진에어 등 LCC 6개사의 항공기 보유대수는 올해 122대에서 내년 148대로 늘어난다. 이는 업계 1위인 대한항공을 따라잡는 수준이다. 허나 정비인력 면에선 대한항공의 절반에도 못 미칠 정도로 부족한 편이다. 자체 정비율을 보더라도 그 격차는 쉽게 알 수 있다. 정비사 2702명을 확보한 대한항공은 90% 이상인 반면 모두 합해 977명에 그친 LCC 6개사는 항공사별로 20~30%가 고작이다.

이런 이유로 LCC 대부분이 해외업체에 정비를 맡기는 실정이다. 정비사는 승객 안전을 책임지는 인력이라는 점에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LCC는 항공기의 평균 기령까지 높아 툭하면 운항지연이 생기는 탓에 승객 불만이 커지는 상황이다.

염두에 둘 건 기령 노후화와 정비사 부족은 승객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점이다. 2016년 항공백서에 따르면 항공안전 장애요인의 69%가 정비 불량에서 비롯됐다. 국내 15개 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지연 및 결항 건수는 2013년 1232건에서 지난해 1694건으로 3년 새 462건이나 늘었다. 승객들의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LCC에 대한 불만이 끊이지 않는 건 적은 수의 항공기로 무리한 운항을 하기 때문이다. 항공기 노후와 전문인력 부족, 정비불량 등의 요인도 가세한다. LCC들이 그만큼 안전 관련 투자에 인색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국 항공기 고장에 따른 지연 불편과 위험은 승객이 떠안는 만큼 항공사의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되는 것이다.

항공기는 사소한 결함 하나가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LCC가 정비사를 권고안대로 확보하지 않아도 정부가 제재할 수 있는 규정이 없다고 한다.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정비사 확충 규정 등이 강화돼야 하는 이유다. 정부는 LCC의 안전대책을 조속히 강화하고 업체들도 그에 부응해 정비시스템 투자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