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간 생활오수, 지하수 위협 우려하며
중산간 생활오수, 지하수 위협 우려하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중산간 일대의 개인오수처리시설에 대한 관리 실태를 보면 걱정스럽기가 짝이 없다. 인력 부족으로 정화조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는 탓이다. 정화되지 않은 오수가 땅속에 스며들어 지하수를 위협하는 오염원이 되고 있다니 기막힐 노릇이다. 지하수 보전을 위해서라도 적절한 조치가 시급하다.

개인오수처리시설은 공공하수관로가 연결되지 않은 중산간 일대의 주택과 영업점 등에 설치된다. 도내 7800여 곳에 산재한다. 문제는 행정이 감독하도록 된 5t 이상 오수시설에 대한 점검률이 턱없이 저조하다는 점이다. 제주시는 45%, 서귀포시는 70%에 머무는 실정이다. 이유는 담당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해서다. 전체 오수시설의 62%가 몰려있는 제주시는 1명이 고작이고 서귀포시도 3명에 그친다. 정상적 관리가 힘든 구조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화되지 않는 오수를 배출하다 적발되는 사례가 속출한다. 지난해 56곳, 올해 11곳이 방류수 수질 기준을 위반해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심지어 2015년 이후 설치된 220곳은 최근까지 수질검사를 단 한 차례도 하지 않은 사실이 감사에 적발되기도 했다. 지하수 오염에 대한 불감증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중산간 지역의 오수 발생량은 1일 4만t에 이른다고 한다. 도두하수처리장 시설용량(13만t)의 30%를 웃돈다. 그중 절반의 오수시설이 정상 가동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니 아찔한 일이다. 정화 안 된 오수가 지하수를 오염시킬 건 불 보듯 뻔한 이치다.

주지하다시피 맑고 깨끗한 지하수는 제주의 상징이고 자랑이다. 하지만 여러 요인으로 청정 지하수에 경고등이 켜진 게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오염원이 도처에 산재한다. 골프장 농약이 그렇고 축산분뇨 문제도 만만치 않다. 거기에다 막대한 양의 생활오수 역시 관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할 땐 수질 오염원으로 둔갑하기 일쑤다.

행정시스템이 거꾸로 지하수 관리의 사각지대로 드러난 건 보통 문제가 아니다. 이제라도 잘못된 인력구조를 바로잡아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일부 지자체의 사례처럼 민간 전문업체에 위탁하는 방안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중산간 난개발을 차단하고 지하수 보전을 위한 보다 엄격한 기준과 원칙을 정립해 실천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