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알아요
우리는 알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효성.명상가

젊은 엄마들이 소풍을 나오셨다. 날씨만큼 반가운 수다 꽃을 피우시며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는데 동행한 아이는 계속 땅에서 무엇인가를 줍고 입에 데려고 하면 그럴 때마다 엄마는 손을 잡아채는 것이었다. 이제 걸음마를 아는 나이였다. 반복되는 행동에 조심스럽게 다가가 무슨 일이냐고 물으니 흙을 먹으려고 해서 말리는 중이란다. 환영받지 못하는 불청객이 될 수 있었지만 아이에 행동을 지켜보자고 했다. 따가운 시선으로 돌아보더니 무슨 말씀을 하시냐고 애가 흙을 먹는다는데 이상한사람 취급을 했다. 결코 아무 일 없는 거라는 어려운 설득을 했다. 하지만 아이는 이미 호기심을 읽어버린 듯 흙을 입에 넣더니 바로 뱉어버리는 것이었다. 맛으로 따질 수 없고 먹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스스로 알아버렸고 또한 왜 엄마가 하지 말라고 했던 이유가 궁금했을 뿐이다. 그리고 새로운 재미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경험에 의하면 말을 배우는 시기에 능력은 정말 뛰어나다. 흔하게 보는 경우 중에 하나는 꽃과 나무와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때 아무렇지도 않게 다가가 꽃이 뭐라고 해요라고 물으면 들은 그대로를 이야기한다. 물론가식이나 꾸밈이 있을 수 없다(반말이 아닌 경어가 좋다).

하지만 이런 소중함은 안돼! 하지마! 라는 부정이 순간적으로 기억저편으로 숨어버린다. 자녀를 키우는데 가장 금기해야할 것이다. 특히나 성문제에 부딪히면 이건 무조건적이다. 아이에게도 알고자하는 본능이 있다. 보통 4~5세가 되면 성적인 욕구가 생겨나는데 못 본 척 자연스럽게 넘어가면 알고 깨우쳐간다. 성폭력에 대한 문제가 심해지고 있다. 사회로부터 격리시키고 여러 방법이 동원되나 별 효과가 없다. 하지만 이들에게 일찍이 성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나 성이란 가장 성스럽다는 것을 가르쳐 줄 누군가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이들의 어린 시절 공통점은 부모의 큰소리와 싸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불안감이며 결코 기억할 수 없는 상처가 될 것이며 불행의 시작일 것이다. 주변에 식물과 동물과 교감을 나누는 이들이 있다. 사실 이러한 것들은 특별함이 아니면 누구나 할 수 있으며 자연 속에 일부이다. 삶의 진정한 의미를 잃어버린 채 그림으로 그려진 욕망을 쫒는 이들의 잃어버린 순수함을 다시 찾아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