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관광객 맞을 인프라는 갖췄나
동남아 관광객 맞을 인프라는 갖췄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제재가 여전한 상황이다. 아쉽게도 그 대안으로 떠오른 동남아 신흥시장 개척방안이 신통치 않은 모양이다. 제주도는 사드에 대한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령’이 장기화될 것에 대비해 외국인 관광객 다변화라는 대응책을 내걸었다. 하지만 그 성과가 역부족인 형국이다.

보도를 보면 중국이 방한 제재조치를 취한 지난 3월 이후 제주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21만5469명으로 전년에 비해 무려 88% 급감했다. 특히 같은 기간 동남아 5개국(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 관광객 역시 지난해 10만8400명 대비 5.8% 감소했다. 중국인 관광객 대안으로 동남아 쪽으로 공을 들이고 있지만 오히려 그 결과는 되레 퇴행적인 상황이다. 대응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지난 9월부터 제주에서 최장 10일까지 체류할 수 있는 환승 무비자 제도가 시행 중이지만 지난 한 달간 동남아 관광객은 6000여 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1만3600명에 비해 56% 급감한 것이다. 제주도 관광정책의 현주소이다.

주지하다시피 제주의 관광시스템이 이처럼 취약한 건 그동안 중국 의존도가 너무 심한 탓이다. 이를테면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의 85%인 중국인인 게 그 실증이다. 중국인 관광객이 발길을 끊으면 열에 여덟의 수입의 사라지는 셈이니 항공과 여행사 등 제주의 관광업계가 중국에 목을 매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중국 일변도의 아킬레스건을 제거하는 길은 한 가지뿐이다. 외국인 관광객을 여러 국가로 다변화하는 거다. 그런 면에서 대만의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 지난해 1월 독립 성향이 강한 차이잉원 총통이 당선되자 중국은 대만 관광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허나 그들은 동남아 등 다양한 지역으로 눈을 돌려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우리도 동남아 관광객 유치를 위해 그에 걸맞은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 우선 다양한 항공편을 마련하는 것이 과제다. 교통을 비롯한 안내 서비스를 그들의 눈높이에 맞출 필요가 있다. 특히 동남아 관광객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한류에 제주를 접목시키는 상품도 절실하다. 중국의 행태로 인한 이번 홍역을 값진 경험으로 기억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