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4·3…유적지 관리 '소홀'
사라져가는 4·3…유적지 관리 '소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道, 597개 유적 중 18개만 관리 이 외엔 방치해
뒷골장성 90여m 등 문화재 지정 용역 중 없어져
보존 관리 조례는 사후 조치 근거 없어 '유명무실'

내년이면 4·3 70주년을 맞아 제주도 내외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리는 가운데 정작 대부분의 4·3 유적은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개발 등으로 훼손이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어 행정의 관심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현재 학살터, 민간인 수용소, 잃어버린 마을, 4·3 성터 등 제주 지역 주요 4·3 유적은 597개소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중 큰넓궤, 곤을동 등 18개소만 제주도의 중점 관리 대상이다.


농업학교 터, 제주공항 활주로 학살터, 천제연 폭포, 관덕정 광장 등 중점 대상 외의 주요 4·3 유적의 경우에는 관리는커녕 표석 또는 안내 설명조차 없는 상황이다. 특히 4·3 유적을 대상으로 한 등록문화재는 한 곳도 없다.


이처럼 행정에서 유적 관리에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유적지 훼손이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다. 지난 2015년에는 등록문화재 지정 대상이었던 뒷골장성 90여 m가 관련 용역을 거치는 동안 택지 개발로 대부분 사라졌다.


더욱이 4·3 유적지 보존을 위해 지난 2009년 도에서 제정한 ’4·3 유적지 보존 및 관리에 관한 조례’는 현실적으로 유적이 훼손되거나 파괴돼도 적절한 조처를 취할 수 없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상황이 이렇지만 최근 도에서 4·3 70주년을 맞아 발표한 총 165억원 규모의 기념사업 내용을 보면 유적지 정비 사업은 큰넓궤, 수악 주둔소 등 기존 중점 관리 대상을 정비하는데 그치고 있다.


양윤경 제주 4·3희생자유족회장은 "오래전부터 유족회에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4·3 유적을 보존해 달라고 지속해서 요청했지만, 행정은 차일피일 미루며 훼손을 그냥 지켜보고만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 회장은 "우리가 4·3을 기억하려는 이유는 다시는 그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말자는 데 있다"며 "현재에도 훼손되고 있는 유적을 행정에서 적극적으로 역사 교육 현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