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는 보양(補陽), 보양(保陽)
여름에는 보양(補陽), 보양(保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박혁세 이도한의원 한의사

한반도의 뚜렷한 사계절은 아름다운 풍광을 만들어내는 하나의 자랑거리지만, 겨울엔 영하 20도, 여름에는 영상 30도를 웃돌아 살아남기 힘든 가혹한 조건이기도 하다.

 

여름은 가장 높은 고도의 태양이 연중 가장 긴 시간 동안 내리쬔다. 땅이 양기로 충만하고, 만물의 생장이 가장 왕성한 계절이다. 이때 인체는 체표면의 혈관을 확장해 혈류량을 늘리고, 땀을 배출해 체온을 조절한다. 한의학에서는 이 땀 배출을 조절하는 기능, 몸의 표면에서 체온을 조절하고 외부환경에 적응하는 기능을 양기(陽氣)의 작용으로 본다. 혈류와 양기가 신체의 외(표)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체내의 양기가 허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외열내한(外熱內寒)의 상황은 바깥은 뜨겁되 속은 차가워, 소화기관의 대사가 활발하지 못해 자꾸 체하거나, 설사를 하게 한다. 더위를 식히기 위해 먹는 찬 음식들은 이런 상황을 가중시켜, 체내의 양기는 더욱 고갈된다. 그래서 여름에 천지 사물에 양기가 충만한 것과 별개로, 인간은 양기의 부족으로 만성적인 피로, 활동 시 기능부전, 식욕저하 등을 겪게 된다. 이를 ‘더위 먹었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여름이라고 과일 등으로 끼니를 거르고, 찬 음식만 찾는 것은 건강을 망치는 길이 될 수 있다. 오히려 따뜻한 음식으로 속을 데워주고, 땀으로 새어나간 양기를 보충하는 식사를 하는 것이 여름을 이겨내는 방법일 수 있다.

 

여름의 대표 보양(補陽)식인 삼계탕은 닭을 주재료로 찹쌀과 인삼, 황기, 대추, 당귀, 구기자, 밤 등의 약재들을 넣고 푹 끓인 음식이다. 닭도 양기가 충만한 음식이고, 인삼은 예부터 비싸고 귀한 약재라, 고관대작에게나 사용할 만한 보기(補氣), 대보원기(大補元氣)의 성약으로, 크게 양기를 보하는 약재이다.

 

황기는 보기의 기능이 강하지만, 인삼은 보기와 함께 유실된 체액을 생성하는 역할도 한다. 당귀와 구기자 역시 지나친 땀 흘림과 이로 인한 소화불량, 설사 등으로 유실된 체액의 보충, 보혈 기능이 강해 새로운 체액을 보충하도록 돕는다.

 

대자연은 모든 것을 베풀지만, 가혹한 투쟁의 대상이기도 하다. 식물처럼 뿌리로만 살아남거나 혹은 강한 외피를 지니고 있지 않은 동물들. 그중 체온을 유지해야 하는 정온 동물, 게다가 겨울잠을 잘 수도 없고, 덥다고 물속에서 살 수도 없는 인간은 주거와 의복, 음식 같은 문화로 대자연에 적응하며 살아왔다.

 

계절의 변화는 한결같으며, 인간들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적응하는 법을 문화로 정착시켜 영위해 왔다. 잊지 않고 찾아온 뜨거운 태양은 변하지 않는 어떤 것에 대응하는 우리 방법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