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방
작은 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길웅. 칼럼니스트

해토머리, 얼었던 땅이 풀리기 시작할 무렵이었을까. 수년 전, 대정읍성 동문 바로 안쪽 추사 선생 적거지를 찾은 날에 지적지적 비가 뿌렸다. 선생이 묵었던 방이 손바닥만 했다. 감기처럼 한기가 엄습해 몸이 으슬으슬했다. 세 평에 찰까. 홀연히 가슴이 답답해 왔다. 긴 세월을 작은 방에 닫힌 채, 울울한 심사를 어찌했을꼬.

산은 저만치 나앉았고 묵묵히 내려앉은 하늘의 정적(靜寂), 귀를 틀어막아도 가까이서 철석이며 달려들었을 바다의 시퍼런 숨결. 선생은 쉰다섯에 유배돼 9년 동안을 저 작은 방에 갇혀 살았구나. 산이고 싶어도 될 일이 아닌 것이며, 내려앉은 하늘이 쇳덩이로 짓눌렀을 테다. 섬의 물결 소리에 밤마다 전전불매(輾轉不寐), 잠 못 들어 뒤척였으리라.

귓전으로 선생의 장탄식이 들리는 듯했다. 유배의 절망감, 상처(喪妻) 속 비탄과 뼈저린 절해고도의 고독 속에서 그렇게 〈세한도歲寒圖〉는 태어났다. 속울음에 한을 토해내듯 명작은 그렇게 탄생했다. 나는 지남철에 끌린 듯 자장(磁場)을 벗어나지 못해 한동안 언저리에 말뚝처럼 선 채 멈춰 있었다. 선생에게 작은 방이 한 세계로 열려 있었을까.

도산서원도 가보고 싶은 곳 중의 하나다. 퇴계 선생이 머물던 방을 보고 싶어서다. 학문을 떠나 그분의 남다른 삶이 함께 잠들어 있는 곳 아닌가. 생활이 검소해 세숫대야는 질그릇을 사용하고, 방엔 평소 부들자리를 깔고 지냈다 한다.

한번은 영천 군수 허 시(許時)가 “이렇게 비좁고 누추한 곳에서 어떻게 견디십니까?” 하고 물으니, “오랫동안 버릇이 돼 있어 어려운 줄을 모릅니다.”라고 대답했다 한다. 선생은 겸허를 덕으로 삼아 털끝만큼도 거만함이 없었다고 전해 온다.

오직 학문 탐구와 제자 양성에 뜻을 두었으니, 문하(門下)에 제자 368명을 거느렸음이 예삿일이 아니다. 한석봉이 쓴 도산서당 편액이 율곡 선생이 찾아와 사흘을 머묾으로써 더욱 빛났지 않았을까.

방 가운데 서북쪽 벽에 서가를 만들고 서면은 격장을 두어 반은 침실을 내었으며, 고서 천여 권을 좌우 서가에 나눠 꽂았다 한다. 매화분 한 개, 책상과 연갑 각각 하나, 지팡이 한 개, 침구·돗자리, 향로, 혼천의(渾天儀)를 두었다던가. 남벽 상면에는 시렁을 가로질러 옷상자와 서류 넣는 부담상자를 두고, 다른 물건은 없다는 것. 이 암서헌(巖棲軒)은 고작 삼간에 불과하다. 작은 공간을 크고 넓게 쓴 어른이었다.

초가삼간으로 하면 세종임금을 빼놓지 못한다. 왕께서는 경회루 동편에 쓰다 남은 재목으로 별채를 지었다. 돌 주추도 쓰지 않고 지붕도 짚으로 이어 간소하기 이를 데 없었으며, 노상 그 집에서 검소하게 지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곳 초가 별채에서 훈민정음 창제에 골몰하셨다. 바로 거룩한 우리 한글의 산실이었다. 작은 방에서 세계적인 문자가 태어났은즉 어찌 ‘작은 방’이라 하랴.

<세한도〉가 탄생하고〈도산12곡〉이 울려나오고 위대한 한글이 태어난 곳은 아주 작은 한 칸의 방이었다.

나는 읍내 조그만 전원주택에 살고 있다. 방 셋 중 둘을 서재로 내주었다. 읽고 쓰는 방이 크진 않으나 다섯 평은 될 것이라, 작은 방이 아니다. 책상 하나, 간이서가 둘에 붙박이장과 수납장, 침대가 들어서 있다. 비좁고 답답한 느낌이 들 때는 동창을 열어 바깥 나무들을 안으로 들인다. 방 안에 또 한세상을 펼치니 크고 넓어 부러울 게 없다.

간혹 작다고 투덜대다, 추사와 퇴계 선생과 세종임금을 떠올리며 나를 바짝 긴장시킨다. 인제 뭘 좀 깨달아 간다.

‘작은 방이 성지(聖地)’인 것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