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를 제주답게 만드는 데 지혜를 모으자”
“제주를 제주답게 만드는 데 지혜를 모으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병수 천주교제주교구 복음화실장/논설위원

예나 지금이나 제주도의 가장 소중한 가치는 공동체의 화합(和合)과 상생(相生)이다. 일상의 소소함을 넘어 광범위하게 일거수일투족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웃의 잔칫날에 누구나 1인분씩 접시에 음식을 담아주는 ‘반’(飯)문화를 보자. 남녀노소, 빈부격차를 가리지 않고 동등하게 서로 나누고 배려하는 정신을 담고 있다.

간혹 올레길을 걷다 숱하게 보는 ‘돌담’을 보자. 이리저리 아무렇게 대충대충 쌓아올린 듯 보이나, 거센 바람에도 끄떡치 않을 만큼 단단하다. 힘센 이는 큰 돌을, 연약한 이는 작은 돌을 처지에 맞게 쌓아올리며 척박한 자연환경을 이겨낸 상부상조(相扶相助)의 표지다.

‘해녀’는 어떤가. 가난에서 벗어나 가족을 살리기 위해 차디찬 바다에 뛰어든 위대한 어머니이자, 늙고 약한 동료를 배려하여 함께 자치적으로 작업하고 수익을 나누는 수눌음(품앗이)으로 지금의 제주공동체를 있게 한 든든한 버팀목이다. 이것은 역사의 그루터기마다 제주를 제주답게 굳건히 곧추세운 웅비(雄飛)의 가치이다.

조선시대 인조7년(1629년)부터 순조25년(1825년)까지 제주도는 출륙금지가 내려져 육지와 내방할 수 없는 절해고도(絶海孤島)이자 유배의 섬이 된다. 여기다 극심한 흉년마저 들어 기근(飢饉)에 허덕이다 속절없이 죽는 이가 속출한다. 이때 제주여인 김만덕(金萬德)이 나서 굶주리고 헐벗은 도민들을 위해 전 재산을 팔아 쌀을 사서 구제(救濟)하고, 도민들도 서로서로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유배 온 이들마저 아우르면서 고향산천을 지켜낸다.

일제강점기엔 혹독한 민족의 고난 속에 독립만세운동을 거세게 펼쳤고, 당시 골룸반회 도슨, 스위니, 라이언신부도 제주신자들과 함께 가세해서 온갖 고초와 투옥을 당하며 조국의 독립에 크게 이바지한다.?

해방되어 몇 년이 지나 제주 현대사(史)에 가장 비극적인 4·3사건이 발생한다. 좌·우이념의 다툼 속에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무고한 부모·형제들이 무수히 죽임을 당한 반인륜적 범죄인 제노사이드(Genocide)다. 마을과 집집마다 희생되지 않은 이가 없을 정도로 참혹하게 파괴된 것이다. 그 후, 수십 년에 걸쳐 울고 싶어도 울지 못하고 숨죽여 피눈물을 흘려야 하는 가혹한 질곡(桎梏)의 세월을 보내야 했다.

하지만 문민정부가 들어서고 4·3특별법의 공포와 진상보고서마저 채택되어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이 뒤따른다. 드디어 2003년 10월31일에 대통령이 제주도민을 향해 공식사과하기에 이른다. 아프고 슬픈 진실을 가슴에 품고 서로를 보듬고 다독이며 인동초(忍冬草)처럼 다시 일어선 것이다. 아무리 불순한 이념적 덧칠로 갈등과 분열을 야기해도 4·3의 진실은 가리지 못한다. 도리어 선명히 드러나 다시는 그런 비극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후손대대로 기억될 것이다.

이처럼 제주도는 나눔과 배려, 자비와 애향정신 등으로 아름다운 공동체를 이루어왔다. 하지만 불과 십여 년 전부터 개발의 열풍으로 여기저기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자연의 보고인 중산간 지역에 난개발이 이루어지고, 국내·외 관광객들과 제주살이를 자처하는 이주민들이 급증하면서 쓰레기 배출과 교통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여기다 탐욕과 개인주의의 그늘이 깊게 드리워지면서 강력 범죄들이 잦고, 서로 돕고 나누며 살아온 소중한 제주 공동체정신마저 빛이 바래어 가고 있다. 어느 때보다 도민들의 걱정과 우려가 만만치 않다.

그만 예서 그쳐야 한다. 이제 제발 토건 개발 위주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도록 하자. 선조들이 남긴 전통문화와 공동체 정신을 토대로 천혜의 자연환경을 우선하며 난마처럼 얽히고 설킨 현안들을 지혜롭게 풀어 제주를 더욱 제주답게 만들어가는데 마음과 뜻을 모으도록 하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